대한상의, 전국 수출 제조社 1,222개 대상 코로나 전·후 조사
수출 증가한 비결, ‘적극적 해외영업’, ‘기존 거래처 물량 증가’, ‘신제품 개발’ 순

수출 증가요인 [자료=대한상공회의소]
수출 증가요인 [자료=대한상공회의소]

 

코로나 사태를 전후해 수출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많았지만 오히려 수출이 늘었다는 기업도 적지 않아 그 비결을 알아보기 위해 전국의 수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코로나 사태 전후 수출 변화상 조사’를 실시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전국의 수출 제조업체 1,222개社를 대상으로 ‘코로나 사태 전후 수출 변화상 조사’를 실시한 결과, 코로나 사태 이전인 2019년과 올해 상반기의 수출실적을 비교했을 때 ‘수출물량이 감소한 품목이 있다’고 답한 기업은 36.3%였으며, ‘수출물량이 증가한 품목이 있다’고 답한 기업도 5곳 중 1곳인 20.2%로 적지 않았다. ‘변화 없다’고 답한 기업이 43.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수출이 증가한 이유는? 

[사례1] 실리콘 제품을 생산하는 수출기업 A사는 최근 중국 경쟁사들의 저가공세로 큰 위기를 겪었다. A사 관계자는 “우리가 만드는 최상급 실리콘과 중국의 저가 공업용 실리콘은 육안으로 구분이 어렵다”며, “해외 수출전시회에 참여해 바이어들을 직접 만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고, 적극적으로 홍보활동을 펼치며 신뢰를 얻었더니, 오히려 수출을 더 늘려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밝혔다.

[사례2] 중소 화장품 업체 B사는 친환경 화장품 개발로 수출활로를 뚫었다. B사는 “미국 시장에서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리 회사의 신제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났고, 매출 실적도 40%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해당기업은 연구개발 인력이 전체 인력의 40%에 달할 만큼 신제품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었다. B사는 한편 동남아 시장 공략을 위해 해외 인플루언서를 대상으로 해외영업을 확대했다고 귀띔했다.

[사례3] 우리나라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 더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라면 제조업체 D사는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통해 해외지역별 영업마케팅본부와 해외물류 전담조직을 신설했다. 각 지역별 니즈를 파악해 맞춤형 마케팅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D사는 코로나가 한창이던 2년 전에도 미국, 중국법인을 설립하고, 중동아프리카 시장 공략을 위해 할랄 인증제품을 새롭게 출시하는 등 해외마케팅에 총력을 쏟았다. 그 결과 D사의 제품은 현재 전세계 90여국에 수출되고 있다.

기업들은 ‘수출이 증가한 요인’으로 ‘적극적인 해외영업 활동’(34.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코로나로 수출시장이 재편되는 과정에서 선제적인 마케팅이 주요했다는 것이다. 이어서‘기존 거래처의 물량 증가’(28.0%), ‘새로운 수출제품 개발’(27.8%), ‘고위기술 우위 확보’(25.8%), ‘단가인하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18.9%), ‘국내 거래처의 해외진출’(7.3%) 순으로 응답했다. <기타 3.7%, 복수응답>

대한상의는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미한 중국 리오프닝 효과 등 무역환경이 악화된 상황에서도 현지 마케팅과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신제품, 고위기술 제품을 전면에 내세운 수출기업들은 좋은 성과를 내고 있었다”며 “과거 수출방식이었던 중간재의 단가경쟁이나 모기업과의 동반진출 등은 더이상 수출시장에서 먹히기 힘든 방식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수출 감소 이유는?

수출 감소 품목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들에게 그 이유를 물어보니 ‘기존 거래처의 물량 감소’를 요인으로 꼽은 기업이 64.1%로 가장 많았다. ‘가격에서 경쟁사에 밀렸다’(24.0%)는 기업이 그 뒤를 이었고, ‘수출국의 정책과 규제’(14.4%), ‘폐업·이전 등 현지 거래처 사정’(11.1%), ‘현지생산으로 대체’(9.2%) 등을 수출 감소의 요인으로 꼽은 기업도 있었다. <수익성 낮아 수출 중단/축소(7.8%), 일방적으로 중단통보(이유 모름) 5.5%, 기타 3.7%, 복수응답>

수출 감소 요인 [자료=대한상공회의소]
수출 감소 요인 [자료=대한상공회의소]

 

[사례4] 미국, 남미시장을 대상으로 자동차 부품을 수출하는 C사는 “최근 해외거래처가 거래선을 현지 로컬기업으로 대체하면서 일부 품목의 수출이 중단됐다”며, “아직 그 비중이 작긴 하지만 이러한 기조가 점차 심화될 것으로 보여 전사적으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례5] 부산의 철강업체 D사는 “지난 몇 년간 중국 경쟁업체의 기술수준이 크게 올랐고, 어떤 부분에서는 우리의 기술수준을 뛰어넘었다”며, “중국 내수시장에 들어가려면 관세 7%를 감당해야 하는데, 가격도, 기술도 경쟁력을 모두 없어진 상태”며 하소연했다.

[사례6] 소재기업 E사는 매출의 10%를 차지하는 주력 수출대상국의 규제강화로 통관거절을 당했다. E사는 “정확한 이유를 알려주지도 않고 제품과 관련 없는 서류만 계속 요구하고 있다”며, “에이전트를 현지인으로 변경해 통관 신청을 다시 해놓기는 했지만 낙관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이번에 통과돼 수출을 재개하더라도 앞으로도 비슷한 일이 지속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막막하다”고 덧붙였다.

상의 “기업의 수출전략 바꿀 수 있는 정책지원과 민·관 One-Team 신시장 개척 노력 필요”

수출이 감소했거나 증가한 대상국가가 어디인지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수출이 감소한 품목의 대상국가로 가장 많이 꼽힌 곳은 ‘중국’(39.4%)이었으며, 이어서 ‘미국’(21.0%), ‘아세안’(15.2%),‘일본’(14.3%), ‘EU’(14.1%) 순으로 조사됐다. <복수응답>

이에 반해, 수출이 증가한 품목의 대상국가는 ‘미국’(29.0%)이 가장 많이 꼽혔으며, 이어서 ‘중국’(20.3%), ‘아세안’(19.4%), ‘EU’(12.3%), ‘일본’(11.6%)이 차례로 꼽혔다. <복수응답>

해외 수출 감소 및 증가 국가 [자료=대한상공회의소]
해외 수출 감소 및 증가 국가 [자료=대한상공회의소]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우리 기업들이 적극적 해외마케팅, 신제품 개발 등으로 수출확대를 위해 애쓰고 있지만, 경쟁사의 저가공세, 자국산 선호경향, 보호무역주의 등에 맞서려면 결국 수출전략을 대대적으로 바꿀 수밖에 없다”며, “일부 국가로 편중되어 있는 수출대상국을 다변화하고, 중간재 중심에서 수입선 대체가 어려운 소비재와 첨단분야 고위기술 제품 중심으로 수출품목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팀장은 또 “이제는 민과 관이 함께 작은 수출시장까지 맞춤형으로 개척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NEXT ECONOM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