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구정도 지나고 봄을 알리는 3월에 들어섰다.
화창한 날씨와 푸르른 나무들을 볼 수 있는 계절이지만, 직판업계는 여전히 겨울이다.
지난해부터 지속되어 온 집합금지가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로 완화되었지만 사실상 예전과 같은 대형행사나 세미나 등의 교육은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비대면 영업과 교육 등의 언택트 문화가 어느정도 자리를 잡았지만, 직판업계의 특성상 100% 비대면은 불가능 한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지난 19일 뉴스를 보다 눈살을 찌푸리게 되는 장면이 들어왔다.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열린 (故)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의 영결식이 그것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2월부터 올해 3월 31일까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을 막기 위해 서울광장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또 서울 등 수도권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에 따른 ‘100인 이상 집합금지’ 행정명령이 시행되고 있다.
영결식에는 얼핏봐도 적게는 수백명에서 많게는 천명 가까운 사람들이 모였다.
여전히 직판업계는 시설면적 16㎡ 당 1인으로 집합이 제한되어 있다. 이를 어길시에는 벌금은 물론이고 고발조치를 당하고 사업이 정지되기도 한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감염자 확산의 주범으로 몰리며 온갖 비난을 들어야 하는 것은 덤이다. 
유독 직판업계를 바라보는 외부의 시선은 이처럼 차갑고 가혹하기만 하다. 그런데 어찌 서울시는 수백명이 모인 영결식을 방치 할 수 있었는지 의문이다.
비난의 여론이 높아지자 뒤늦게 서울시는 영결식을 주최한 관계자들을 감염병예방법으로 고발하기로 했다고 22일 밝혔다. 영결식 순간 최대 참여 인원이 100명을 넘어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에 따른 방역수칙에 위반된다는 것이다.
만약에 직판업계가 이런 모임을 했다면 어땠을까?
흔히들 ‘내로남불’이라는 말을 한다. 지금의 서울시 모습이 마치 내로남불 같다.
직판업계가 하면 불법이고, 다른 업계가 하면 합법인가? 
수천명이 오가는 백화점은 운영이 되면서 직판업계 행사는 불가능하다는 점이 고개를 갸웃거리게 한다. 서울시가 하고 있는 사회적거리두기와 여러 방역정책들은 일관성이 부족해 보인다. 서울시의 이런 오락가락한 정책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 
그리고 직판업계에만 유독 가혹한 편견은 이제는 없어져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NEXT ECONOM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