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가맹사업 정보제공 시스템 ‘가맹희망 플러스’ 구축

# 이연상(32, 남)씨는 올해 생애 첫 창업을 준비하고 있다. 창업실패 위험을 줄이기 위해 프랜차이즈 창업을 하기로 마음먹었지만 어떤 브랜드를 어디서 창업할지 막막하기만 하다.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정보공개서를 열람해봤지만 그 양이 너무 방대해 프랜차이즈를 선별하기란 쉽지 않았다고.
이연상 씨는 “일일이 맘에 드는 브랜드를 찾아서 검색하고 비교·분석하기도 힘들어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편의점·치킨 등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2008년 1276개에서 2015년 4844개로 7년 새 4배 가까이 늘었다. 프랜차이즈 증가로 창업 희망자들의 선택 폭은 크게 늘었지만, 정보를 일일이 분석해 자신에게 적합한 프랜차이즈를 찾는 일은 더 어려워졌다.
이러한 불편함이 연내에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모든 가맹사업 정보를 한데 모은 종합정보시스템이 구축되기 때문이다.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정재찬, 이하 공정위)는 중소기업청,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협력해 맞춤형 가맹사업 정보 제공 시스템인 ‘가맹희망플러스’를 구축한다고 최근 밝혔다.

가맹사업 비교정보 제공
공정위는 가맹본부와 가맹희망자 간 정보 비대칭 문제를 해소하고 가맹본부의 거짓된 정보로 인한 가맹희망자들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2008년 2월부터 가맹본부 정보공개서 등록과 공개 제도를 시행해왔다.
그러나 제도 시행으로 가맹본부 정보공개서 등록 수가 매년 증가하면서 정작 업종이나 브랜드별로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는 정보는 제공되지 않아 가맹희망자들이 모든 정보공개서를 일일이 열람해 정보를 비교·분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공정위는 등록된 정보공개서상 빅데이터를 가공해 업종 및 브랜드별 다양한 비교 정보를 제공, 가맹사업정보를 알기 쉬운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해 ‘가맹희망플러스’ 구축을 추진한다고 전했다.
공정위는 가맹희망플러스를 통해 업종별 수익성과 안정성, 성장성 등을 비교·분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 시장 트렌드를 정확히 파악해 업종을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 가맹희망자들이 선택한 업종 내 가맹본부 브랜드별 상세한 비교정보도 제공한다. 브랜드별 기본 정보를 ▲브랜드 개요 ▲수익성 ▲안정성 ▲성장성 등 4가지 항목으로 구분해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브랜드별 가맹계약 체결 시 가맹점주의 비용부담 내역도 함께 제공할 방침이다.

일례로 피자·햄버거·샌드위치·치킨 중 어떤 업종을 선택할지 고민하는 가맹 희망자는 4개 업종의 최근 3년간 가맹점 매출액을 참고해 업종을 선택할 수 있다. 업종을 고르고 나면 브랜드별 폐점율과 매출액 증가율, 인테리어 비용 부담 등을 비교해 브랜드를 선택하면 된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청과 소상공인진흥공단이 제공하는 지역별·업종별 종합 상권 정보도 가맹희망플러스를 통해 제공해 업종과 브랜드, 점포 입지 선택까지 한 번에 가능한 시스템도 구축한다. 창업 희망 지역 및 업종을 선택하면 업종·매출·인구·지역 분석 정보가 도출되는 것. 이를 통해 업종과 브랜드 선택을 마친 가맹 희망자가 지역별 매장 현황과 매출 통계, 시간대별 유동인구 등을 비교해보고 최종 입점 장소를 정할 수 있다.
아울러 중기청·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실시하는 프랜차이즈 수준 평가 결과 우수 평가 등급을 받은 가맹본부에 대한 정보도 가맹희망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가맹희망플러스는 4월 사업자 선정을 시작으로 10월 시스템을 구축, 오는 11월부터 정식 가동될 예정이다. 특히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가맹희망플러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보다 구체적이고 유용한 정보가 취합·제공될 수 있도록 오는 9월까지 가맹사업법 시행령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공정위 측은 가맹희망플러스가 가맹 희망자들이 ‘어느 업종’의 ‘어떤 브랜드’를 ‘어디에서’ 창업할지를 합리적으로 결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인터넷상의 각종 상업적 정보와 구분되는 공신력 있는 가맹사업 정보를 한데 모아 제공해 가맹 희망자들의 정보탐색 비용이 대폭 절감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공정위의 가맹분야 불공정 거래 행위 근절 대책이 보다 다각화 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면서 “가맹 희망자들의 합리적 선택은 가맹본부 간 경쟁 압력을 제고하고 이는 가맹본부의 자발적인 거래 관행 개선과 상생 협력 노력으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NEXT ECONOM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