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경품사기에 유통업계 긴장모드

홈플러스가 고객을 상대로 경품 사기 행각을 벌인 것이 드러나면서 유통업계에 긴장감이 맴돌고 있다.

경제 불황과 세월호 여파로 얼어붙었던 소비심리에 불을 지피기 위해 고가의 경품을 내건 행사가 물거품이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이다. 특히 이번 사건은 업체 전체로 번져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어 긴장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국내에 없는 반지가 경품?
MBC 시사매거진 2580은 지난 7월 고가의 경품을 내건 홈플러스 경품행사의 문제점을 집중보도했다.

방송에 따르면 경품 1등 당첨자는 있었지만 경품을 타가지 않은 경우가 대다수였다. 경품이 전달되지 않은 채 그대로 사라져버리는 경우가 많았다는 의미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 측은 “당첨자와 전화연결이 되지 않아 전해주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보이스피싱 등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아 연락이 닿지 않았다는 것. 그러나 경품 당첨자들은 한 목소리로 전화는 물론, 문자 또한 받지 못했고 당첨 사실조차 몰랐다고 호소했다. 더구나 홈플러스는 국내에 없는 제품인데도 마치 있는 냥 다이아몬드 반지를 경품으로 내걸고 행사를 진행한 적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올 초 7800만원 상당의 다이아몬드 반지를 내걸고 행사를 벌였지만 해당 브랜드의 다이아몬드 반지는 한국에 있지도 않은 제품이었고 홈플러스 측은 해당 다이아몬드 회사에 문의한 적도 없음이 밝혀지면서 논란이 됐다.

또한 홈플러스 직원이 2012년 5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상습적 경품 조작으로 4차례에 걸쳐 고가의 외제 승용차 3대와 국산 브랜드 승용차 1대 등 4대를 빼돌려 1억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알려지면서 충격을 줬다. 뿐만 아니라 홈플러스 경품 응모 시 써냈던 고객들의 개인정보는 각 보험사로 팔려나갔다는 의혹도 제기돼 소비자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결국 홈플러스는 여론이 악화되자 경품 사기 논란과 관련된 직원을 경찰에 고소하고 사과문을 발표하며 수습에 나섰다. 사과문을 통해 사건 재발 방지를 위한 내부 모니터링 체계 강화 및 시스템 개선 방안을 수립 중에 있다고 밝혔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유사한 사례는 또 있다. 창립 60주년을 맞아 ‘초특급 경품대잔치’를 진행하고 있는 A사는 소비자를 우롱했다는 구설수에 휩싸였다. 자동차, 해외 항공권 등 고가의 경품을 내건 이 행사에 응모할 수 있는 방법이 제대로 고지하지 않아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안겨준 것.

논란이 계속되자 홈페이지를 리뉴얼하고 행사 참여에 대한 안내글을 팝업창 형식으로 바꿔 사태 수습에 나서면서 사건은 일단락됐지만 늦장 대응에 소비자들의 혼선을 빚게 만들었다는 비난은 면치 못하게 됐다.
당첨되도 안되도 찝찝한 경품행사
사실 대형마트 뿐 아니라 백화점 등 많은 유통업체들이 고가의 경품을 내걸고 고객들을 유인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이번 홈플러스 사건 때문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경품 사기 못지않게 심각한 문제가 고객정보 팔아먹기다. 대부분의 경품 이벤트가 개인정보 활용 동의 후 응모가 가능하기 때문에 개인정보유출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우려가 현실이 된 듯 홈플러스는 경품행사로 모은 고객 개인정보 250만건 이상을 다수의 보험사에 1인당 4000원 가량을 받고 팔아넘겨 100억원대의 이익을 취한 것으로 전해진다.

경품에 혹한 소비자들의 심리를 이용해 정보를 쉽게 얻은 후 폭리를 취한 셈이다. 응모권 뒷장에 개인정보 제공범위를 명시했기 때문에 법적으로 문제없다고 하지만 믿고 참여한 소비자들은 ‘불매운동’이라는 부메랑으로 되돌려주고 있다.

이에 유통업체들은 혹여 불똥 튈까 경품 행사에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모습을 띄고 있다. 실제로 롯데백화점은 지난 여름정기 세일을 시작하면서 침체한 소비 심리를 살리기 위해 구매 금액과 관계없이 △1등 10억원(1명) △2등 1억원(2명) △3등 1000만원(5명) △4등 100만원(100명) 등을 지급하는 행사를 내걸었다. 경품규모만 총 13억5000만원에 달하고 참여인원도 약 300만명에 이른다.

롯데백화점 측은 공정성 논란에 대비해 백화점을 방문한 고객들 가운데 5명을 선발, 공개추첨방식으로 진행했고 추첨 이후에 고객 정보들은 현장에서 모두 폐기 처분되기 때문에 고객 정보가 유출될 우려는 없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홈플러스 사건을 기회로 다른 유통업체의 경품행사도 유사한 예가 있는지 철저히 점검해 소비자의 의심을 씻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관계자는 “홈플러스의 이번 사건은 매출부진을 타개하려 꼼수를 부리다 가장 중요한 고객의 신뢰를 잃은 사건”이라며 “홈플러스 후폭풍은 한 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덧붙여 “기업들이 공공연히 이벤트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팔아넘겨 왔는데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인정보 수집·매매 행위 단속에 나서 이러한 행위를 뿌리 뽑아야 할 것”이라고 강하게 피력했다.     

 

저작권자 © NEXT ECONOM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