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금리 신용도 따라 차등 폭 확대

시중금리가 들썩이면서 가계 부실 문제가 우려되고 있다.금융위원회에 따르면 7월 말 현재 금융권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37조2000억원에 달한다. 이 중 변동금리형 대출 비중은 90%가 넘는다.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가 0.1%포인트 오르면 이자 부담만 연간 3000억원가량 늘어나는 셈이다.

일부 은행들은 가계부채 리스크를 제어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에게 더 높은 대출금리를 부과하는 금리 차등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가뜩이나 소득 수준이 낮아 이자 상환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저신용·서민층이 금리 상승으로 인한 가계부채가 우려된다.

최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주에 CD 금리가 0.05%포인트 오르면서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일제히 상승했다.

국민은행의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신규 대출자 기준으로 8월 중순부터 연 4.95~5.65%가 적용된다. 신한은행은 4.55~5.65%, 하나은행은 3.97~5.47%의 금리가 부과된다. 이미 대출을 받은 고객의 이자 부담도 커지긴 마찬가지다.

일부 은행은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신용등급에 따라 차등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우리은행은 9월부터 이를 시행할 방침이며 신용도에 따른 최고 금리차는 0.2%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은행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대출자의 신용등급과 상관없이 담보의 손실률만 따져 금리를 정했다”면서 “주택대출은 담보물을 통한 회수가 99% 가능하기 때문에 신용등급에 따른 금리 격차를 크게 두긴 어렵다”고 말했다.

하나은행은 저신용자가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경우 담보인정비율(LTV)을 10% 더 줄이는 방식을 지난 5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신용등급에 따른 금리 차등을 주택담보대출에 이미 적용하고 있다. 1등급과 9등급은 0.17~0.2%포인트 정도 금리 차가 있다는 게 은행 측 설명이다.

박창균 중앙대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 금리 등 시중금리가 단기간에 1~3%포인트 오르면 가계대출 연체율은 8~17%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금리가 갑자기 오르면 가계부채의 안정성이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신규 대출 땐 고정금리형 고려

주택담보대출을 새로 받으려는 사람은 고정금리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은행권의 고정금리형 상품은 변동금리형 상품보다 대출 금리가 2%포인트 이상 높아 매력이 없지만 주택금융공사 보금자리론과 보험사의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은 금리 차이가 채 1%포인트가 안된다.

보금자리론은 대출 기간에 따라 연 5.9(10년 만기)~6.35%(30년 만기)의 고정금리가 적용되고, 인터넷 대출인 ‘e-모기지론’은 연 5.7(10년 만기)~6.15%(30년 만기)가 적용된다.

보험사의 고정금리 대출도 고려해 볼 만하다. 대출금리가 은행채 3년물에 연동되는 은행 고정금리형 상품과 달리 국고채 3년물에 연동된다. 대출 기준금리 자체가 은행보다 보험사가 낮다. 교보생명과 현대해상은 3년고정형 평균 대출금리가 연 6.0~6.2%다.

반면 기존 주택담보대출자의 경우 무리하게 고정금리형으로 갈아탈 필요는 없다고 금융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저작권자 © NEXT ECONOM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