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깃층 집중 공략하는 ‘핀스킨마케팅’ 활발

핀셋으로 집듯 상품의 특성에 맞는 고객을 대상으로 마케팅 활동을 펼치는 신조어로, ‘핀셋 마케팅스킨십 마케팅이 합쳐진 용어이다. , 핀셋으로 집듯 상품의 특성에 맞는 고객들을 선별해, 강력한 스킨십으로 다가가는 마케팅을 이른다. 이는 보통 소비자들과 직접 대면하는 기회가 많은 유통업계에서 자주 활용되는 방식이다.

이는 자신과 동일한 취향이나 관심사를 적극적으로 공유하는 MZ세대의 성향에 따른 것으로 이에 따라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SNS업계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MZ세대 10명 중 6명은 공유하고 싶은 정보를 SNS에 공유하는데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유통업계는 브랜드 모델 선정부터 공략하려는 소비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며 이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거나, 공략층의 선호도가 높은 콘텐츠를 제작하여 적극 활용하는 등 양방향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제품 마니아에서 제품 모델로

코카콜라의 탄산음료 닥터페퍼(Dr. Pepper)’는 최근 닥터페퍼 마니아로 알려진 가수 씨엘(CL)을 브랜드 모델로 전격 발탁했다. 그 배경에는 씨엘은 올 여름 개최된 ‘MBC 워터밤 서울 2022 위드 스프라이트무대에서 자신의 ‘Doctor Pepper’를 부르는 팬들의 영상을 본인 트위터 계정에 올리면서 시작됐다. 씨엘의 팬들 사이에서 코카콜라 코리아 트위터 계정을 언급하며 닥터페퍼 모델로 발탁해야 하는 거 아니냐는 목소리가 더욱 높아졌고, 이에 코카콜라 코리아 트위터가 적극 화답하며 팬들의 호기심과 기대감을 고조시켰다. 그로부터 얼마 뒤 씨엘이 먼저 본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닥터페퍼 모델로 발탁됐음을 알리며 팬들 사이에서 큰 호응을 이끌어 냈다. 이어 씨엘과 닥터페퍼 이슈가 활발히 오가던 코카콜라 코리아 트위터 계정이 한동안 닥터페퍼 계정으로 임시 변경돼 소비자와 팬들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 내기도 했다.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늘리기 위해 신규 매장을 오픈하거나 팝업스토어를 만들어 자신들의 브랜드를 소비자들에게 경험할 수 있는 체험매장도 늘어나고 있다.

한국마즈 스니커즈는 BTS 스페셜 에디션 출시를 기념해 BTS X 스니커즈 팝업스토어를 운영 중이다. 방탄소년단과의 협업을 기념해 BTS X 스니커즈 뮤직팩을 테마로 꾸며진 팝업스토어를 팝업의 성지인 서울 성수동에 오픈해 운영중이다.

몽고간장은 장류 업계 최초로 성수에서 팝업 스토어를 오픈하며 2030 고객 늘리기에 나서고 있다. 물가 상승으로 집에서 요리를 해먹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집밥 필수품인 간장을 내세운 팝업스토어를 열어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다. 이번 팝업 스토어는 요리가 더 즐거워지는 곳 요리낙원을 콘셉트로 운영되며 방문객들은 신제품인 청양초 매운간장과 어울리는 음식을 함께 시식할 수 있다. 여기에 몽고간장의 117년의 역사와 현재의 모습을 담은 헤리티지존과 포토존이 마련돼 있어 MZ세대들이 이전에 경험해 보지 못했던 이색 팝업 현장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캐릭터 활용한 양방향 소통 강화

소비자와의 양방향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캐릭터를 활용하는 유통업체도 늘어나고 있다.

농심은 자사의 라면왕 김통깨제품을 캐릭터로 의인화한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캐릭터 김통깨가 식당을 운영하며 라면왕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는 스토리가 소비자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소비자들의 관심을 이끌고 있다. 농심은 2030 세대 사이에서 제품 의인화가 인기를 끌고 있는 대목에서 착안해 가수 김종민을 발탁 TV광고를 제작했으며, 김통깨 캐릭터 시구행사 등 젊은 층을 사로잡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빙그레 역시 자사 제품들을 활용한 캐릭터들로 활발한 SNS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가장 먼저 기획된 빙그레우스 더 마시스는 빙그레 왕국의 후계자이자 왕자로 아버지로부터 인스타그램 채널 운영과 팔로워 수 목표치를 달성하라는 미션을 부여받고 활발한 SNS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후 빙그레는 투게더리고리경, 옹떼 메로나 부르쟝, 요플레 백작 등 기존 제품을 의인화한 캐릭터를 꾸준히 선보이며 일명 빙그레 왕국세계관을 확장해 나갔다.

부동산 시장에도 핀스킨 마케팅

최근에는 지역 내 실수요자들을 공략하기 위한 방법으로 부동산 시장에서도 핀스킨 마케팅 방식이 확산되고 있다. , 과거 주택 마케팅이 홍보자료와 판촉물을 일방적으로 나눠 주고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데 중점을 둔 반면 최근에는 실수요자인 지역 주민들과 교감을 쌓는 방식 등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예를들어 주부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는 무료 생활 서비스 실시, 입주 예정자들의 여행 비용을 지원하는 가족 이벤트 시행, 거주자들의 특성을 살린 경품 증정 등이 이에 해당한다.

부동산 리서치 기관 리얼투데이는 한국감정위원회가 지난해 1~3월 서울에서 팔린 아파트 5326채 중 30(30)1421( 26.7%).) 가장 많았다. 또한 지난 3개월간 서울 아파트를 산 사람 2명 중 1명은 30~40대였다. 이러한 소비자의 변화에 따라 건설사들이 고객을 직접 방문하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핀스킨마케팅 활동이 늘어나고 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건설사들이 핀스킨 마케팅으로 돌아선 이유는 현재 주택 시장이 30~40대 실수요자로 재편됐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숙박예약 플랫폼 여기어때는 브랜드명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사투리 버전으로 변형하며 광고 카피로도 활용하며 각 지역별 여행지의 장점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와 같이 핀스킨 마케팅은 일반적으로 버스 정류장, 지하철 스크린 도어 등 우리들이 일상에서 접하기 쉬운 옥외매체를 통해 개인화된 메시지를 전달한다. 광고 피로도를 낮추면서 메시지 내용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장점이 있어 삶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식품 브랜드, 중고거래 플랫폼 등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 마케팅 전문가는 브랜드를 알리는 것에 초점을 맞추지 말고, 우리의 중점 고객을 찾는 것에 초점을 둬야 한다고 조언한다.

저작권자 © NEXT ECONOM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