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카카오톡을 비롯해 카카오페이, 카카오내비 등 계열사 다수 서비스가 지난 15일 오후 판교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화재의 영향으로 장애를 일으켰다. 

하나의 메신저에 불과하지만 온 국민이 큰 불편함을 느꼈다. 그만큼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카카오톡이라는 메신저는 우리 생활에 깊숙히 파고 들어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국내 메신저 시장에서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는 카카오톡이 지난 1년 반 동안 2조6천억원에 육박하는 광고 매출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 톡비즈 매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해 2분기까지 카카오가 카카오톡 광고를 통해 얻은 매출은 총 2조5천580억원이었다.

이는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개인사업자를 가릴 것 없이 거의 모든 업종이 카카오톡 광고를 이용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실제로 최근 카카오톡 ‘먹통’ 사태 이후 인터넷 게시판 등에서는 카카오톡이 지난 2012년 “카오톡은 유료화를 할 계획이 전혀 없다. 카카오톡에 광고 넣을 공간도 없고, 쿨하지도 않고, 이쁘지도 않다. 카카오팀이 그렇게 가난하지는 않다”고 밝혔던 업데이트 공지가 화제에 오르기도 했다.

국민들에게 큰 혼란과 막대한 피해를 일으켰던 이번 ‘카카오 먹통’ 대란의 주요 원인은 카카오가 문어발식 확장과 수익 창출에만 열을 올리고 인프라 안정성 점검과 투자는 뒷전으로 미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우리 모두가 그렇게 카카오를 신뢰했지만 그만큼 카카오는 국민들에게 무책임했다고 볼 수 있다.

카카오는 특히 카카오톡의 압도적 점유율을 기반으로 소비자를 묶는 ‘잠금 효과’로 카카오톡 이용자가 대안을 찾기 어렵다는 점을 이용해 광고 사업 확대를 통한 수익 극대화에 골몰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공정위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플랫폼 기업이 자본을 앞세워 무분별하게 사업을 확장하는 것을 제재하기 위해 플랫폼 기업에 특화된 기업결합 심사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국민과 소비자를 뒷전으로 여기는 기업은 반드시 언젠가는 국민과 소비자에게 버림받을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국민과 소비자가 있기에 기업이 존재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NEXT ECONOM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