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밤, 여야 당대표가 국회에서 2020년도 제4차 추가경정예산안 합의문에 서명했다.
정부가 2차 재난지원금을 최대한 추석 전에 지급 개시한다는 것이다. 유통업계로서는 호재인 셈이다. 
지난 8월까지만 해도 유통가는 방역 3.0을 걱정했다. 하지만 방역 수위는 내려가고 추석전 소비자금이 유통가에 풀릴 수 있게 되었으니 얼마나 다행인가?
이는 재래시장을 포함한 소상공인에게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또한 1차 재난지원금이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은 제한했던 것과는 달리 이번 2차 재난지원금은 사용처의 제한도 없앴다. 이는 정부가 이번에는 대형 유통사들까지 배려한 것이다. 유통간의 차별없이 비대면 추석기간 소비진작 정책을 펼치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이런 정책 속에서도 추석을 앞둔 유통가에서 유독 소외받는 곳이 있다. 비운의 주인공은 직판유통이다. 정부정책의 형평성에 의문이 가는 대목이다.
코로나19 정국에서는 전 유통이 힘든 건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직판유통도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다. 
그럼에도 유독 직판유통의 어려움을 헤아리는 정책은 만무하다는게 안타깝다. 그동안 규제와 단속 외에 직판유통을 위한 정책은 눈을 씻고 봐도 찾아볼 수 없으니 말이다.
이번 정부의 정책의 일관성과 형평성에는 그동안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유통법의 의무휴일 제도, 유통법 개정 등도 마찬가지다. 혹자는 정부의 정책이 ‘두더지 잡기 게임’ 같다고 한다. 먼저 튀어 나오는 것만 망치로 내려치는 격이란 뜻이다. 유통시장의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경기활성화를 위한다면 편향적인 정책이 아닌, 분야별 형평성 있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정부정책이 모든 분야를 다 만족시킬 수는 없다. 하지만 어느 특정 분야가 소외되는 정책은 지양되어야 한다. 주류가 아닌 유통일지언정, 이들까지도 함께 얽혀 톱니바퀴처럼 굴러가야지만 전체 유통경제는 살아날 수 있다. 
얼마전 서울시에 올린 코로나19 방역 홍보영상이 논란이 됐다. 다른 유통들이 정부의 지원정책으로 한숨을 돌릴 때, 직판유통은 한숨이 깊어졌다. 의도되지 않았더라도 논란이 될 수 있으면 과감히 시정하는 것이 공공기관의 도리다. 또한 정부는 유통분야간 경중과 높낮이를 나눠서는 안된다. 
직판유통도 엄연히 우리나라의 엄격한 법 테두리안에서 유통산업을 지탱하는 한 축이다. 수레바퀴의 살 하나가 부러진다면, 결국 바퀴 전체가 부서질 수 있다.
정책과 규제의 형평성만이 유통산업이라는 큰 수레바퀴를 온전히 굴러가게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NEXT ECONOM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